
사진설명: 기획재정부 제공
2025년 지난달 5월 15세 이상 고용률은 63.8%로 전년대비 0.3% 상승, 15~64세
고용률은 70.5%로 전년대비 0.5% 상승했다.
경활률은 65.6%로
전년대비 0.2%p 상승했으며, 실업률은 2.8%로 전년대비 0.2%p
하락했다.
연령별로는 30대(81.2%, 1.1%) 및 40대(80.2%, 1.0%)ㆍ60세 이상
(48.3%, +0.9%)에서 고용률이 상승했고, 청년층(46.2%, 0.7%) 및
50대(77.6%, 0.5%)에서 하락했다.
취업자수는 전년대비 24.5만명 증가했다.
업종별로는 서비스업(60.6→
54.9만명)에서 증가한 반면, 건설업(15.0→10.6만명)ㆍ제조업(12.4→6.7만명)ㆍ
농림어업(13.4⟶13.5만명)은 감소했다.
지위별로는 상용직(27.9→36.2만명)
ㆍ임시직(5.2→2.5만명)이 증가했고 일용직(5.4→5.9만명)은 감소했다.
취업자수는 지난 2024년 .4월(26.1만명) 이후 13개월 만에 최대폭으로 증가하면서
5개월 연속 두자릿수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.
15세 이상 경활률·고용률 및
15~64세 고용률(70.5%)은 통계 작성 이래 월간 기준 역대 최고치를
기록했으며, 15~64세 고용률이 70%를 상회한 것은 12개월 만이다.
업종별로는 제조·건설업 감소세가 완화되면서 전체 취업자수 증가폭
확대 요인으로 작용했다.
제조업은 일평균 수출 증가 등 영향으로
감소폭이 축소됬으며, 건설업은 지난해 .5월 취업자가 큰 폭 감소했던
기저효과(2024년 .4월0.5만→ 2024년 .5월 4.7만) 영향으로 감소세가 완화됬다.
서비스업은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증가폭은 전월 대비 축소 됬다.
공공행정·보건복지업은 직접일자리 사업 효과 및 돌봄수요 확대
등으로 증가세를 유지했고 숙박음식업은 내수 어려움 지속 등의 영향으로
15개월 만에 감소로 전환했다.
청년 취업자수(17.4→15.0만) 및 고용률(0.9→0.7%) 감소 등 청년층
고용 어려움은 지속되고 있으나, 감소폭은 전월 대비 축소됬다.
정부는 내수 회복 및 신산업 육성 지원을 통해 일자리 창출 노력과 청년 등
취약계층 고용 촉진을 위한 정책적 대안을 마련 및 강화, 경기 회복 및 소비여력 확충을 위해 추가경정예산안을 마련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.
AI 등 차세대 첨단산업에 대한 집중 육성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양질의
민간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여력도 마련해 나간다고 알려졌다.
한편 정부는 청년 등 취약계층 고용안정을 위해 청년 일경험·직업훈련 등
청년 일자리 사업을 차질없이 추진하고, 미취업·쉬었음 청년에 대한
고용서비스도 지속해서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